맨위로가기

비야리카 (파라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야리카는 파라과이 과이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1570년 루이 디아스 멜가레호에 의해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여러 차례 위치가 변경되었으며, 1701년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승인을 받아 영구적인 도시로 자리 잡았다. 19세기 후반 유럽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파라과이 전쟁과 이후 내전으로 인해 인구 구성이 변화했다. 비야리카는 상업, 서비스업, 농업, 소규모 산업이 발달했으며, 교육 도시로서 국립아순시온대학교, 카톨릭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또한, 파라과이에서 문화적으로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많은 예술가와 지식인을 배출했으며, 클럽 포르베니르 과이레뇨와 같은 유서 깊은 단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과이의 도시 - 아순시온
    아순시온은 파라과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도시들의 어머니"라 불리며 라플라타 강 유역의 스페인 식민지 확장의 중심지이자 현재는 파라과이의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메르코수르의 출범 도시이다.
  • 파라과이의 도시 - 파라과리
    파라과리는 파라과이의 도시이자 국가 독립의 요람으로 불리며, 파라과이 전투의 역사적인 장소이자 농업과 교육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명소와 축제를 제공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비야리카 (파라과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비야리카, 파라과이
비야리카 시 깃발
깃발
비야리카 시 문장
문장
공식 명칭비야리카델에스피리투산토
별칭방랑 도시, 문화 수도
표어플루스 울트라(라틴어: 더 멀리)
일반 정보
국가파라과이
광역 자치구과이라 주
시장마긴 베니테스(PLRA)
설립1570년 5월 14일
설립자루이 디아스 멜가레호
면적247km²
고도200m
시간대대서양 표준시(AST)
UTC 오프셋-04
일광 절약 시간ADT
UTC 오프셋 (DST)-03
우편 번호5000
지역 번호+595 (541)
인구 통계
총 인구74,35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역사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카스티야와 포르투갈남아메리카 국경이 모호해지자, 아순시온스페인인들은 포르투갈 국경에 더 가까운 동쪽에 도시를 건설하여 영토 주장을 강화하려 했다. 1550년대 누에바 안달루시아 총독령의 도밍고 이랄라 함장은 아순시온 동쪽 "과이라 땅"에 "온티베로스"를 건설했다. 1557년 루이 디아스 멜가레호는 카리오 원주민 부족에 대한 포르투갈인들의 학대를 줄이고, 브라질로 가는 길목이라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과이라에 "시우다드 레알"을 건설했다.

이후 멜가레호는 임시 총독 펠리페 데 카세레스와의 분쟁으로 과이라 지방 총독직에서 축출되었다. 알론소 리켈메가 후임으로 임명되었으나, 멜가레호는 그를 체포하여 투옥하고 추방했다.

2. 1. 초기 정착 (1570년 ~ 1682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남아메리카에서 카스티야와 포르투갈의 국경이 모호해지자, 아순시온스페인인들은 포르투갈 국경에 더 가까운 동쪽에 도시를 건설하여 영토 주장을 강화하려 했다. 1550년대 누에바 안달루시아 총독령의 도밍고 이랄라 함장은 "온티베로스"라는 도시를 건설하여 아순시온 동쪽의 "과이라 땅"을 정복했다. 1557년, 루이 디아스 멜가레호는 카리오 원주민 부족에 대한 포르투갈인들의 학대를 줄이고, 브라질로 가는 길목이라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과이라에 "시우다드 레알"이라는 또 다른 도시를 건설했다.

비야리카의 창립자인 멜가레호 함장의 그림


16세기, 루이 디아스 멜가레호는 40명의 부하와 53필의 말을 거느리고 시우다드 레알에서 동쪽으로 향했다. 그는 그곳에서 금과 은 광산을 발견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메리카 원주민 추장인 쿠아라시베라(Cuaracybera, 빛나는 태양)의 땅에 도착한 그는 1570년 5월 14일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그 지역에 귀금속이 있다는 믿음과 그 날짜가 가톨릭 교회의 성령 강림 축일에 가까웠기 때문에 '빌라 리카 델 에스피리투 산토'(Villa Rica del Espíritu Santo, 성령의 부유한 마을)라고 명명했다.[1]

빌라리카 최초 정착지에 있는 작은 예배당. 현재 브라질 파라나주(Paraná (state)) 페닉스(Fenix) 마을의 주립 공원이다.


1592년, 탐험가 루이 디아스 데 구즈만은 도시를 동쪽으로 100km 옮겼다. 1599년, 그는 다시 도시를 옮겼는데, 이번에는 아순시온에서 100리그 떨어진 음보테이테이 강 근처였다. 오랜 평화로운 시대 이후, 도시는 1632년 반데이란테스에 의해 침략당했고, 4년간의 유랑 끝에 인구는 음바라카유 숲 자연 보호 구역 근처 음바라카유 언덕에 정착했다. 2년 후, 발데라마 총독은 야루 들판에 도시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1642년, 인구는 다시 쿠루구아티로 이동했다. 1678년, 인구는 토바티리 강 근처, 코로넬 오비에도의 "에스피닐로"라고 불리는 곳에 정착했다. 토양이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테비쿠아리미 강 너머 지역을 탐험하기로 결정했다.[2]

강 건너편에서 그들은 비옥한 땅과 이비티루수 언덕 근처 여러 개울을 발견했고, 도시를 다시 옮기기 위해 스페인 총독의 허가를 요청했다. 1682년 5월 25일, 총독은 이비티루수에 정착하여 스페인 왕국 국왕의 공식 승인을 기다리라는 허가를 내렸다.[2]

2. 2. 정착과 발전 (1682년 ~ 1870년)

1682년 5월 25일, 스페인 총독은 주민들이 이비티루수 언덕 근처에 정착하는 것을 허가했다. 이는 스페인 국왕의 공식 승인을 기다리는 임시 조치였다.[1] 1701년 5월 14일, 펠리페 5세 국왕은 왕령을 통해 이비티루수에 도시를 영구적으로 건설하는 것을 승인했고, 이 날짜가 비야리카의 최종 건설일이 되었다.[1]

프란체스코 수도회 선교사들은 과라니 선교 지역인 이타페를 설립하여 도시 안정에 기여했다.[1] 17세기부터 1818년까지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은 수도원을 운영하며 주민들을 가톨릭 신앙으로 이끌고 교육했는데, 이 수도원은 초·중등 학교 역할도 수행했다.[1] 그러나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는 국가를 강력하게 통제하기 위해 수도원과 학교를 폐쇄했다.[1]

1844년 프란시아 사후 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지만, 1865년 파라과이 전쟁 발발과 함께 다시 문을 닫았다.[1] 1870년 전쟁이 끝났을 때, 비야리카는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여 인구가 크게 줄었다.[1]

2. 3. 파라과이 전쟁과 이후 (1870년 ~ 현재)

1870년 파라과이 전쟁이 끝났을 때, 비야리카는 큰 인명 피해로 인해 인구가 매우 감소했다. 1888년 비야리카에 철도가 개통되면서 인구와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1892년부터 20세기 초까지 비야리카에는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스페인인, 독일인, 아슈케나지 유대인, 아르헨티나인, 우루과이인 등 많은 외국인들이 유입되었고, 그 외에도 소수의 레바논인, 크로아티아인, 그리스인들이 이주해왔다. 이들 이민자들은 산업, 문화, 교육 발전에 기여하여 비야리카를 수도 아순시온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로 만들었다. 그러나 두 차례의 파라과이 내전, 특히 1947년 혁명은 도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파라과이 군부가 장악하면서 수천 명의 파라과이인들이 이주했고, 비야리카의 많은 지식인들이 전국으로 흩어지거나 아르헨티나로 망명했다.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너 정권 시절인 1954년부터 1989년까지의 정치적 박해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20세기 말 비야리카는 시우다드델에스테, 엔카르나시온, 루케와 같은 새로운 도시들에 밀려 국가 내에서의 중요성을 잃었다.[1]

3. 지리

비야리카는 과이라 주 중서부에 위치하며, 해발 약 200m의 구릉 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이비티루수 언덕에서 서쪽으로 20km 지점에 있다. 도시 지역의 토양은 주로 모래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은 완만한 경사를, 남쪽은 약간 가파른 경사를 이룬다. 배수가 잘 되고 암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눔이(Ñumí)로 가는 길에 있는 14 드 마요 지역에서는 철분이 많은 라테라이트가 발견된다.

심한 삼림 벌채로 인해 하천 제방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만 원시적인 수종이 제한적으로 관찰된다. 다양한 풀과 야자수가 구릉성 평야 지형에서 자라는데, 풀은 자연 초원이거나 가축 사료용으로 재배된다. 현재 야자수 숲의 면적은 작지만 토양 퇴화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아순시온에서 동쪽으로 172km, 엔카르나시온에서 북쪽으로 237km, 시우다드델에스테에서 서쪽으로 217km 떨어져 있다. 도시 면적은 247km2이며, 삼각형 모양이다. 토양은 주로 사암, 셰일, 석회질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래 언덕이 많다.

3. 2. 수문

테비쿠아리미 강의 지류인 여러 하천이 도시를 관개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이타쿠아, 카룸베이, 이쿠아안구아, 보보, 미타이, 카운디 등이 있다.[2]

250x250px


도시 지역에는 이타쿠아(Itacua), 카룸베이(Carumbey), 이쿠아안구아(Ycuaangua)라는 세 개의 하천이 있는데, 이들은 이후(Yhu)라는 또 다른 하천으로 흘러든다. 이후(Yhu)는 볼라스 쿠아(Bolas Cua)의 지류이며, 그 합류점은 시의 남서쪽에 있는 카아자파미(Caazapami) 마을에 위치해 있다.[2]

북쪽에는 엠보카야티(Mbocayaty) 마을과의 경계 역할을 하는 보보(Bobo)라는 하천이 있다. 보보 하천과 거의 평행하게 미타이(Mitay)라는 지류가 흐른다. 미타이 하천은 비야리카와 야타이티(Yataity)의 경계를 이룬다. 서쪽에는 미타이 하천의 지류인 카운디(Kaundy)가 있는데, 비야리카와 펠릭스 페레스의 경계를 이룬다. 카운디와 보보 모두 미타이 하천의 지류이며, 미타이는 북서쪽으로 테비쿠아리미 강으로 흘러든다.[2]

3. 3. 기후

비야리카는 쾨펜 기후 분류상 아열대 습윤 기후(Cfa)에 속하며, 열대 우림 기후(Af) 및 열대 계절풍 기후(Am)와 인접해 있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건강하며, 연평균 기온은 21°C이다. 여름에는 38°C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겨울에는 1°C까지 내려갈 수 있다. 강우량이 가장 많은 달은 1월과 11월이다.[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42°C40°C39.6°C38.8°C35.4°C34°C33.2°C37°C40.5°C41°C40.4°C40.4°C
평균 최고 기온 (°C)33.1°C32.3°C31.3°C28.8°C24.7°C23.6°C23.5°C25.9°C27.2°C29.3°C30.5°C32.2°C28.5°C
평균 기온 (°C)26.7°C25.9°C24.9°C22.4°C18.8°C17.7°C17°C18.9°C20.5°C23.1°C24.2°C26.1°C22.2°C
평균 최저 기온 (°C)21.9°C21.3°C20.3°C17.8°C14.4°C13.2°C12°C13.6°C15.3°C18.2°C19°C20.9°C17.3°C
최저 기온 기록 (°C)12°C11°C7.5°C4.9°C1°C-1.6°C-3°C-3.4°C1.1°C4.4°C5.6°C7.6°C
평균 강수량 (mm)155mm143.5mm143.7mm159.6mm181mm100.5mm79mm63.2mm109.6mm206mm190.1mm175.7mm1706.8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09998879910910107
평균 상대 습도 (%)72757678797874727171707074
평균 일조 시간234.0239.4236.6204.2165.4192.6185.6233.8198.8219.7246.8260.72627.3

[3][4][5][6]

3. 4. 동식물

비야리카의 시골 지역에서는 남아메리카여우를 볼 수 있는데, 현지인들은 과라니어(Guarani language)로 '아구아라이'(Aguara´i|아구아라이gn)라고 부른다.

비야리카 시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토착 동물은 다음과 같다.

  • 조류: 큰키스카디, 푸른관머리딱따구리, 벌거벗은목종달새, 회색박쥐올빼미, 붉은볏딱다구리, 브라질흰뺨검둥오리, 남방물떼새, 자색가슴아마존앵무.
  • 파충류: 거대뱀, 황색아나콘다, 파라과이용혈목.
  • 포유류: 큰개미핥기, 남아메리카여우, 흰귀주머니쥐, 작은황색귀박쥐.


가장 취약한 동물 종은 자이언트수달과 검독수리이다.[2] 최상위 포식자인 재규어는 현재 비야리카와 서부 과이라에서는 멸종되었다.[2]

토착 나무로는 타베부이아 이페로우(핑크 라파초), 타베부이아 세라티폴리아(옐로우 라파초), 자카란다(블루 자카란다), 펠토포룸 두비움(이비라피타), 코르디아 트리코토마, 엔테롤로비움 콘토르티실리쿰(파카라 콩깍지 나무)를 자주 볼 수 있다.

일부 토착 과일로는 패션프루트, 아세로라, 브라질 체리, 아크로코미아 아쿨레아타(macaw palm fruit, Acrocomia aculeata), 그리고 '아라티쿠'(Annona nutans)라는 과일이 있다.

4. 인구

19세기 후반 유럽 이민자들의 유입은 1947년 제2차 파라과이 내전까지 비야리카의 민족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분쟁 이후 유럽계 인구는 아순시온아르헨티나로의 이민, 유럽계 사람들의 출산율 감소, 현지인의 출산율 증가, 아메리카 원주민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혈통을 가진 인구와의 혼혈 등의 요인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20세기 말, 비야리카의 인종 구성은 파라과이 전체와 유사해졌으며, 90% 이상이 혼혈 주민으로 스페인어보다 조파라와 과라니어를 주로 사용한다.

4. 1. 인구 구성 변화

19세기 후반 유럽 이민자들의 유입은 1947년 제2차 파라과이 내전까지 비야리카의 민족 구성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 분쟁 이후 유럽계 사람들의 수는 아순시온아르헨티나로의 이민, 유럽계 사람들의 출산율 감소, 현지인의 출산율 증가, 그리고 이미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상당한 아메리카 원주민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혈통을 가진 인구와의 혼혈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20세기 말 비야리카의 인종 구성은 파라과이와 사실상 동일해졌으며, 90% 이상이 혼혈 주민으로, 일반 스페인어보다 조파라와 과라니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4. 2. 행정 구역

센트로 지역 전경


비야리카는 14개의 도시 지역과 23개의 농촌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마을마을
1에스타시온린콘15카냐다 산 후안
2산타 루시아피사데라16이토로로
3산 미겔도냐 후아나17이타이부
4산 블라스14 드 마요18푼타 쿠페
5산타 리브라다레모스19카아사파미
6로마스 발렌티나스엠보피쿠아20포트레로 산 프란시스코
7우르바노로사도21포트레로 바에스
8크리스토 레이카로베니22포트레로 이슬라
9센트로투유티23로마 산 프란시스코
10이바로티코스타 에스피닐로
11이비라로비포트레리토
12살레시아노카냐다미
13투유티미카냐다 타페 카구이
14쿠루주 프란시스코산타 로사


5. 경제

비야리카의 주요 경제 활동은 브라질, 아르헨티나와의 상품 거래, 서비스업, 그리고 설탕 가공, 가구 및 신발 제작과 같은 소규모 산업이다.[7] 상업은 도시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데, 과이라 주의 다른 모든 마을, 카아구아수 주와 카아사파 주뿐만 아니라 브라질의 의대생들까지 비야리카의 대학으로 유치하기 때문이다.[7] 농업은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과이라 주 전체 사탕수수 재배량 중 비야리카가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다.[7]

6. 사회 기반 시설

비야리카는 도로, 철도, 통신 등 다양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상수도, 전력, 인터넷, 금융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8]

6. 1. 교통

비야리카는 주로 8번 국도 "블라스 가라이" 국도를 통해 파라과이의 다른 도시들과 연결된다. 파라과이 북부로는 PY02 국도와 PY07 국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작되는 산타니를 통해 연결되며, 이타푸아주의 코로넬 보가도 지역까지 포장되어 있다. 또한 엠보카야티, 나탈리시오, 트로체 마을을 통과하는 PY07 국도와 연결되는 또 다른 도로가 있다. 더불어 PY10 국도는 비야리카를 파라과리시와 연결한다.

비야리카에서 이타페까지 이어지는 23km 도로(포트레로 이슬라 마을)


비야리카와 이타페 마을을 연결하는 포장 도로는 두 개이다. 첫 번째 도로(18km)는 로마스 발렌티나스 지역에서 시작되고, 다른 하나(23km)는 산타 리브라다 지역에서 시작된다. 비야리카를 인근 마을 펠릭스 페레스와 직접 연결하는 도로는 여전히 비포장도로이다.[8]

6. 2. 공공 서비스

상수도 서비스는 정부 소유 기업인 ESSAP에서 제공한다. 전력은 지역 민영 기업인 CLYFSA에서 제공한다. 비야리카는 파라과이에서 민영 기업으로부터 전력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일한 지자체이다.[8]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티고, 퍼스널 및 국영 기업인 COPACO에서 제공한다.

6. 3. 금융

빌라리카에는 브라질의 이타우 은행, 아르헨티나의 바코 나시온, 파라과이의 BNF, GNB, 콘티넨탈 등 여러 은행이 지점을 두고 있다. 협동조합으로는 빌라리카에서 설립된 COOPEDUC, 전국 보건 인력을 위한 COOMECIPAR, 쿠퍼아티바 우니베르시타리아 등이 있다.

7. 교육

비야리카는 교육 도시로, 국립학교, 오르티스 게레로 학교, 기술 및 직업 국립학교, 디오세사노 세미나리오, 농업 지역 학교, 여성 전문학교, 피오 12세 예술 공예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과 학교들이 있다.

7. 1. 대학교

비야리카에는 UNA, UCV, UNVES 등 3개의 주요 대학교가 있다. UNA와 UNVES는 국립 대학교이며, UCV는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사립 대학교이다. 비야리카에 있는 UCV 의과대학은 산 로렌소에 있는 UNA 의과대학에 이어 파라과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의과대학이다.

7. 2. 주요 고등학교

살레시오회가 운영하는 돈 보스코와 마리아 옥실리아도라 고등학교, 비종파 기독교가 운영하는 센트로 에두카티보 인터나시오날, 사립 비종교 학교인 부시오 학교, 정부 소유의 비종교 학교인 CRENT가 있다.

8. 문화

250x250px


비야리카는 20세기 전반까지 활발한 문화 활동으로 파라과이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로 여겨졌다. 파라과이 최초의 의사, 최초의 시인, 최초의 신경외과 의사가 모두 비야리카 출신이다. 마누엘 오르티스 게레로(Manuel Ortiz Guerrero), 디에고 산체스 하세(Diego Sanchez Haase), 카요 실라 고도이(Cayo Sila Godoy) 등 파라과이의 많은 저명한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태어났다.

1888년 비야리카에 클럽 포르베니르 과이레뇨(Club Porvenir Guaireño)가 설립되어 파라과이에서 가장 오래된 사교 클럽이 되었고, 1953년에는 CLYFSA라는 최초의 민영 전력 회사가 설립되었다. 1886년에는 비야리카 출신 안토니오 타보아다(Antonio Taboada)가 파라과이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정당인 PLRA를 설립했다.

과이레냐 FC(Guaireña F.C.)는 파라과이 축구 토너먼트 1부 리그에 참가한 축구 클럽이며, 이 외에도 럭비, 농구, 사이클링, 테니스와 같은 스포츠가 인기가 있다.

8. 1. 문화적 중요성

비야리카는 20세기 전반까지 활발한 문화 활동으로 파라과이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로 여겨졌다. 파라과이 최초의 의사, 최초의 시인, 최초의 신경외과 의사가 모두 비야리카 출신이다. 마누엘 오르티스 게레로(Manuel Ortiz Guerrero), 디에고 산체스 하세(Diego Sanchez Haase), 카요 실라 고도이(Cayo Sila Godoy) 등 파라과이의 많은 저명한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태어나 자랐다. 다른 여러 비야리카 출신 인물들은 특히 교육, 언론, 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아구아수, 엠보카야티(Mbocayaty), 인데펜덴시아, 산페드로 주의 우니온과 같은 파라과이의 많은 마을들이 비야리카 출신 개척자들과 가족들에 의해 정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파라과이에서 가장 오래된 사교 클럽인 클럽 포르베니르 과이레뇨(Club Porvenir Guaireño)는 1888년 비야리카에 설립되었으며, CLYFSA라는 최초의 민영 전력 회사도 1953년 이 도시에 설립되었다. 파라과이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정당인 PLRA는 1886년 비야리카 출신 안토니오 타보아다(Antonio Taboada)에 의해 비야리카에서 설립되었다.

비야리카에는 축구 클럽인 과이레냐 FC(Guaireña F.C.)가 있으며, 파라과이 축구 토너먼트 1부 리그에 참가했다. 이 도시의 다른 인기 스포츠로는 럭비, 농구, 사이클링, 테니스가 있다.

8. 2. 음악

1992년, 과이레냐 필하모닉 협회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플루트, 음악 이론 수업을 제공했다.[9] 또한 아순시온을 제외한 파라과이 유일의 바로크 음악 연주단인 앙상블 루미네 안티쿠아를 결성했다.[9] 시 문화부는 '센수스 아에테르누스'라는 자체 합창단을 운영하며 인근 도시와 아르헨티나의 다른 합창단과 함께 합창제를 개최한다.[9] 사립 교육 기관에서는 기타, 피아노, 드럼, 파라과이 하프 수업을 제공한다.[9][10]

8. 3. 종교

비야리카는 가톨릭의 영향이 매우 크지만, 점차 종교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비야리카는 파라과이 자유 베들레헴 오순절 교회의 본거지이다. 도시에 존재하는 다른 소수 종교 단체로는 침례교회, 여호와의 증인,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있다.

가톨릭 수도회 중 가장 중요한 곳은 예수회, 프란체스코회, 살레시오회이다.

9. 관광

오르티스 게레로 공원의 유쿠아 피타 ()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 중 하나는 오르티스 게레로 공원이다. 이 공원은 센트로 지역의 드 보트렐 거리와 코로넬 오비에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석호 주변에는 산책로가 있으며, 시인 마누엘 오르티스 게레로의 묘소도 있다. 또한 카피바라, 오리, 청둥오리, 열대조류, 거위와 같은 동물들을 관찰하고 먹이를 줄 수 있는 좋은 장소이며, 아구티라고 불리는 멸종 위기에 처한 설치류도 볼 수 있다.[11]

페르민 로페즈 박물관은 1842년에 지어진 집에 자리잡고 있으며, 또 다른 흥미로운 곳이다. 이곳에는 파라과이 전쟁 영웅인 페르민 로페즈와 시인 나탈리시오 탈라베라의 개인 소지품, 차코 전쟁 당시의 무기와 탄약, 오래된 파라과이 과라니 동전과 지폐, 원주민 무기, 옛 가구, 도시의 오래된 사진, 종교 미술품 등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12]

그 외 추천 활동으로는 6월에 구 철도역에서 열리는 성 요한 축제에 참석하거나, 과이라 공원에서 산책이나 자전거를 타거나, 대성당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참석하거나, 이토로로 마을의 언덕에서 하이킹을 즐길 수 있다.[13]

10. 저명한 출신 인물


  • 마누엘 오르티스 게레로 (시인)
  • 나탈리시오 탈라베라 (낭만주의 및 전쟁 시인)
  • 후안 나탈리시오 곤살레스 (파라과이 대통령)
  • 에프라임 카르도소 (교육자, 역사가)
  • 엘리오 베라 (작가, 언론인)
  • 카요 실라 고도이 (기타 연주자)
  • 알프레도 자이퍼헬드 (작가, 언론인)
  • 마르코스 세이다 (공산당 정치인)
  • 나디아 페레이라 (2021 미스 유니버스 파라과이, 2021 미스 유니버스 1위)
  • 리아 애쉬모어 (2022 미스 유니버스 파라과이)

11. 자매 도시

산살바도르데주주이(아르헨티나)[1]

참조

[1] 뉴스 La ciudad andariega https://www.abc.com.[...]
[2] 서적 Atlas Regional Guaira Vol.3 https://issuu.com/ar[...]
[3] 웹사이트 Villarric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3-09
[4]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Villaricca-86233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02
[5]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20
[6]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climate-datas[...] Meteo Climat 2021-04-11
[7] 뉴스 Empresas y negocios. Villarrica https://www.abc.com.[...]
[8] 웹사이트 Compañía de Luz y Fuerza SA Villarrica https://clyfsa.com/a[...]
[9] 뉴스 La Asociacion Filarmonica Guaireña culmina temporada https://www.abc.com.[...]
[10] 뉴스 Comenzaron las clases de musica en la Filamonica Guaireña https://www.ultimaho[...]
[11] 뉴스 Lo que los carpinchos de Villarrica tienen para enseñarles a los de Argentina https://www.abc.com.[...] 2021-09-06
[12] 뉴스 Cuna de la Cultura https://www.abc.com.[...] 2009-00-00
[13] 뉴스 Vibrante San Juan en Villarrica https://www.ultimaho[...] 2023-00-00
[14] 웹인용 Villarric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